-
자바 변수와 데이터(1)안드로이드 스튜디오/JAVA 자바 2021. 12. 6. 13:18
자바 변수와 데이터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.
변수
- 변수의 종류와 정의를 확인하면 다양한 형태를 알 수 있습니다. 논리형(Boolean), 정수형(int), 문자형(char), 실수형(float, double)의 형태가 있으며 각각의 값을 정의할 경우, 변수 타입 + "정의하고자 하는 이름"으로 정의합니다.
- 각각의 변수 타입은 타입별로 사용하는 용도가 다르며 적절하게 사용하는 것은 평생의 숙제가 아닐까 싶습니다.
변수 a
- int a, String b, 등의 형태를 만들면 int의 값에 해당하는 크기만 확보를 합니다. (메모리확보) 그리고 이렇게 확보한 값에 데이터를 집어넣게 됩니다. 그 데이터를 집어 넣을 수 있는 범위는 각각 다르게 존재합니다. String이라는 문자열부터 double이라는 실수형까지 담을 수 있는 범위가 정해져 있습니다.
변수 a = 2021;
- 프로그래밍 중에서 자바 기본 법칙으로 모든 문장의 끝에는 세미콜론(;)을 붙여줘야하며, 알파벳의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한다는 점이 가장 인상적입니다.
- 변수 a 라는 상자(데이터 박스)를 만들어 놓으면 그 상자 안에 2021;이라는 값을 집어 넣을 수 있습니다. 숫자의 데이터이기에 변수 타입은 int를 넣게되면
- int a = 2021; 이라는 값이 나오고 이를 찍어보면
- System.out.println(a);이며 값은 2021이라고 찍히게 될 것입니다.
그래서 보통 int a 라고 한다면 "변수 선언"이라고 합니다. 선언만 했을 뿐, 그 안에 데이터를 집어 넣는 것은 다른 이야기라는 말입니다. 처음에 이 부분이 가장 헷갈렸던 것 같습니다.
- 집을 만들고, 그 안에 누가 살고 있는지?를 추측하는 것이 어려웠던 이유는, 보통 안에 누가 살 것인지 생각하고, 집을 짓기보다는 기존의 집을 활용하는 것인데 ,어떻게 보면 비슷한 의미인 것 같고, 다르게 보면 끝도 없이 다른 점 같습니다.
- 따라서, 우리집 강아지의 집을 지어준다고 했을 경우, 이미 집을 지었고, "a" 강아지의 몸집을 비교하여 변수 타입을 정하고 "int" 그 안에 강아지를 집어넣으면 완성! 강아지의 몸집에 맞게 제작하면 결과는 강아지의 몸집에 맞게 제작했는 지를 확인할 수 있다.
물론 말티즈 집을 45평으로 할 수도 있지만, 그렇게 될 경우, 메모리의 낭비가 있을 수 있으니, 미리 집어 넣을 데이터의 크기를 고려해 변수를 지정해야한다. 그리고 강아지 집인데, 햄스터가 살 수는 있으나, "비효율"적이라는 점을 고려해서 각각의 집주인들에게 알맞은 집을 제공해 주는 것이 "좋은" 혹은 "능력있는" 프로그램이 아닐까 싶습니다.
그래도 일단 문자형은 String , 정수는 Int, 실수는 double로 때려넣는 나란 사람...흑.
반응형'안드로이드 스튜디오 > JAVA 자바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채팅 시스템 개요 (2) 2023.05.03 AWS EC2의 Mysql과 인텔리제이 JDBC 라이브러리 (0) 2023.05.02 [자바] 생성자의 개념과 생성자를 사용하는 이유 (0) 2022.10.03 안드로이드 LayoutInflater (0) 2021.12.13 카멜 케이스 파스칼 케이스 (0) 2021.12.12